안녕하세요. 측정 기술 및 설비 예지보전 솔루션 전문기업 USENS 유센스입니다.
제조 산업 현장에서 고온 환경은 다양한 공정의 핵심적인 요소이며, 이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제품 품질과 생산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제철, 제강, 소결 등의 고온 공정에서는 실시간 온도 감시 및 정확한 데이터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육안 관찰이나 단순 센서 기반 감시 방식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보다 정밀하고 지능적인 계측 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적외선 고온계(Pyrometer)와 열화상 카메라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고도화된 온도 측정 솔루션으로, 비접촉 방식으로도 고온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문서에서는 초고온 열화상 시스템을 활용한 A사와 B사의 실증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적외선 고온계가 실제 공정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어떤 가치를 창출하는지를 살펴봅니다.
1. 사례– A사 공장 소결기 말단 낙하물 모니터링 프로젝트
A사 공장의 소결 공장에서는 일상적으로 소결기 말단의 낙광 상태를 기존 고온 가시광 카메라로 온라인 모니터링하며, 대부분 수동 관찰을 통해 상태를 판단해왔습니다. 이에 따라 지능적인 감시 및 분석 체계를 구축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이크로 내열 열화상 측정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 낙광 상태란?
소결 공정은 철광석 등의 미세 입자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응집(소결)시켜 일정한 크기의 덩어리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때 소결기는 일정한 속도로 가열된 원료를 이동시키며 처리하는데,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소결된 광물이 컨베이어 말단에서 떨어져 나오게 됩니다. 이 떨어지는 소결광의 상태, 즉 '낙광 상태'는 소결 공정의 품질과 안정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기존에는 이 낙광 상태를 작업자가 고온 가시광 카메라 영상이나 육안으로 관찰하여 경험적으로 판단했지만, 이는 객관성과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열화상 카메라나 Pyrometer를 활용해 실시간 온도 데이터와 영상 정보를 수집·분석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자동화된 품질 관리가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초고온 열화상 이중 스펙트럼 박스형 카메라
【적용 가치】
- 초고온 열화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소결기 낙광 감시의 지능화 실현.
- 실시간 온도 모니터링 및 데이터 수집을 기반으로 소결 공정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
- 생산 담당자에게 풍부한 온도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소재 품질 보장에 기여.
2. 사례 - AOD & VOD 정련로 온도 모니터링 프로젝트


B사 제강공장의 AOD & VOD 정련로 측면 랜스 및 본체 온도 모니터링 프로젝트입니다. 해당 설비는 스테인리스 제강용 정련로로, 기존의 관찰창 대신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하여 전로 내부 용선 및 노저부의 온도를 정밀하게 측정했습니다. 현장에는 초고온 열화상 박스형 카메라 총 12대를 설치하여, 설비 상태를 전방위로 실시간 감시할 수 있도록 구축했습니다.


초고온 열화상 박스형 카메라
【적용 가치】
- 온도 이상 부위를 조기에 감지, 즉시 정비로 설비 수명 연장 및 유지비 절감.
- 순찰 인력 감소, 안전 리스크 저감, 작업 환경 개선 및 효율 향상.
- 시각화된 설비 건강 평가 체계 구축, 결함 진단 고도화 및 지능화 실현.
USENS 유센스 홈페이지에서
귀하가 찾고있는 '설비 유지보수'과 관련된 제품을 둘러보세요.
USENS 유센스의 제품과 기술지원이 필요하시다면 언제든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Tel 02-6476-1233 Ⅰ sales@usens.co.krⅠ Copyright.USENS(유센스)
'▶ Measurement > 소음진동 계측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R30X-Q 풀 메탈(금속) 하우징 시리즈 (0) | 2025.07.19 |
---|---|
정밀한 유지보수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 – LVDT20 리바운드 타입 선형 변위 센서 (3) | 2025.06.08 |
설비의 안정적 운전을 위한 핵심, 정밀 속도 감지 센서 - KJT zero speed Hall effect 센서 (0) | 2025.06.08 |
[TIERA] 경제적이고 강력한 소음 및 진동 분석 DAQ - PHONOVIBE 시리즈 (0) | 2025.02.07 |